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첫 수업은 진리관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첫 수업은 진리관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첫 수업은 진리관에서
오뚜기 첨단 e+강의실 옆에서 반가웠던 오뚜기 팀에게 사진 보내기

우리는 제니엘 CEO 강의실, 총 11명의 학우들 매주 월요일 오후 7시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시간 교재는 “쉽게 배우고 바로 활용하는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_학지사
난민을 어떻게 도울 것인가?정부예산 불가, 이 땅에 사는 사람들이 아니니까

모든 계획서는 기술식이 아닌 개조식에서 써야 하는 소셜 워커는 기획서를 잘 써야 한다 그래야 예산을 받는 제목부터 대상/방법/목적이 밝혀져야 할 대상_무슨 문제인지 공통된 문제인지 큰 타깃이 아니라지방 법원-방법과 목적이 잘 맞을지 목적-대상자의 결핍 기존의 사례를 모방하는(기존 자료 요약 편집)고정 관념을 포장하는 것이 마케팅 ex)복권=행복 사용권 영상 문제성과 필요성을 써서 예산을 받도록 해야 할 대상:장애 근로자의 방법:근로 환경 개선 목적:근로 효능감 경감단 여자의 취업을 위한 전산 프로그램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전산 프로그램을 통해서 취직 역량 강화 대상:경력 단절 여성 방법:전산 프로그램 목적:취업 역량 강화 목적이 제목에 없으면 안 된다 목적은 대상자가 원하는 것, 대상자의 욕구가 아니면 되지 않은 대상자의 문제점이 필요.날다!미래×이런 제목은 절대 안 된다제목에서 떼고 아이들이 먹고 노는 것을 어떻게 배움에 이끌어 가는지 그런 요구는 구글 앱에서에서도 미리 조사해야 하며 기존 사업과의 차별화가 중요하다 다른 제안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획서를 쓸 때는 기관에 적합한 글(대상이 언론사인지 두드러기, S 사는 장애자, P인지 청년)어떤 기획에서도 참가자가 많지 않으면 안 되고(여성의 가장 장애인의 참여율이 낮을 가능성이 있다), 비포 애프터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무료 급식 후의 아이들의 체중, 신장 변화가 있는가), 평가는 양적 평가, 질적 평가(만족도)최근의 평가는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지, ESG까지 본다
